4. 205.81.10.0/24 네트워크를 7개의 네트워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Subneting 하시오/
(1) 서브넷팅을 했을 때의 각 대역별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24
(2) Subnet 개수? 8개
(3) 실제 사용 가능한 Host 개수? 30개
(4) 마지막 Subnet의 Network ID? 205.81.10.224
(5) 첫번째 Subnet Broadcast 주소는? 205.81.10.31
(6) 두번째 Subnet의 사용 가능한 IP 범위는? 205.81.10.33 ~ 205.81.10.62
205.81.10.0/24 <- CIDR 값이 /24이므로 Class C를 기준으로 함
따라서 앞에 3개 주소 고정 마지막 한개를 8개로 아래처럼 표현
8+8+8+ 128 64 32 || 16 8 4 2 1
네트워크를 7개 쓰고 싶다고 했으므로 32 || 16에서 분할해줘야
서브넷 ID 개수 2^3 8개로 Subneting
이 경우 호스트 아이디로 사용할 수 있는 것 32개 - 2개(Network ID, Broadcast 주소) = 30개
서브넷 마스크는 C class이므로 255.255.255.(224 = 서브넷 ID의 비트의 값의 합)
CIDR값은 8+8+8+(3 = 서브넷 ID에서의 비트 수) = /27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224/27
5.151.92.0.0/16 네트워크를 각 네트워크 당 6500개의 Host가 사용할 수 있도록 Subneting 하시오/
(1) 서브넷팅을 했을 때의 각 대역별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24.0 /19
(2) Subnet 개수?8개
(3) 실제 사용 가능한 Host 개수? 8190개
(4) 마지막 Subnet의 Network ID? 151.92.224.0
(5) 첫번째 Subnet Broadcast 주소는? 151.92.31.255
(6) 두번째 Subnet의 사용 가능한 IP 범위는? 151.92.32.1 ~ 151.92.63.254
CIDR이 /16이므로 Class B / 255.255.0.0 / 6500개 Host ID
- 분석
8+8
+ <서브넷 갯수> <호스트 갯수>
128(32768) 64(16384) 32(8192) || 16(4096) 8(2048) 4(1024) 2(512) 1(256)
+
128 64 32 16 8 4 2 1
000 00000 00000000 ~ 11111 11111111 151.92.0.0 ~ 151.92.31.255 255.255.224.0 /19
001 00000 00000000 ~ 11111 11111111 151.92.32.0 ~ 151.92.63.255
010 00000 00000000 ~ 11111 11111111 151.92.64.0 ~ 151.92.95.255
151.92.96.0 ~ 151.92.127.255
151.92.128.0 ~ 151.92.159.255
151.92.160.0 ~ 151.92.191.255
151.92.192.0 ~ 151.92.223.255
151.92.224.0 ~ 151.92.255.255
6.152.0.61.0/16 네트워크를 각 네트워크 당 200개의 Host가 사용할 수 있도록 Subneting 하시오
(1) 서브넷팅을 했을 때의 각 대역별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24
(2) Subnet 개수? 256개
(3) 실제 사용 가능한 Host 개수? 254개
(4) 마지막 Subnet의 Network ID? 152.0.255.0
(5) 첫번째 Subnet Broadcast 주소는? 152.0.0.255
(6) 두번째 Subnet의 사용 가능한 IP 범위는? 152.0.1.1 ~ 152.0.1.254
서브넷팅은 나중에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실습에서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기본기이므로
반복된 예제 학습으로 개념을 숙지해야한다.
'Bas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Router 2대 토폴로지 구성 (Packet Tracer 실습) (0) | 2022.05.16 |
---|---|
4. CISCO Switch / Router (0) | 2022.05.14 |
3. VLSM (0) | 2022.05.14 |
1. IP Class 구분 및 Subnetting (0) | 2022.05.10 |
0. OSI 7 Layer (0) | 2022.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