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se89

13. remote access (2 - ssh / scp / sftp) 다양한 remote access series 중에서 가장 중요한 녀석 0. ssh - secure shell; 보안된 shell(명령어 해독기) - 암호화 된 통신을 제공하는 protocol - CLI 환경으로 사용 - key 교환을 통해 암호화 key를 생성하고, 암호화 key를 이용하여 주고받는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 - ssh는 version이 1,2가 있으며 현재는 version2를 사용 - Linux는 기본적으로 ssh 접속 지원 > ssh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고 부팅 시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설정 + 방화벽 예외 규칙에 ssh 추가되어 있음 - 정보 패키지 : openssh-* 데몬 : sshd 방화벽 : port=22/tcp, service=ssh 설정파일 : /etc/ssh/sshd_conf.. 2022. 6. 23.
12. remote access (1 - telnet) + CD 마운트 + firewall(방화벽) 보안성의 이유로 교육용 이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remote access 방식이다. telnet 자체 보다도 telnet을 사용하기 위한 과정에서 배우게 되는 기초에 집중하자. 첫째로는 cd 마운트를 통한 rpm 이용 설치(이걸 마지막으로 이제 다 yum만 쓸 예정) 둘째로는 방화벽에 대한 내용, 마지막으로 관리자 우회 접속 (su-) 0. remote access - telnet - 옛날부터 사용하던 원격 접속 protocol - CLI 환경으로 사용 - 거의 모든 OS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잘 사용하지 않는다 > 보안성이 낮음(주고 받는 데이터를 평문 전송을 한다 = 비 암호화 통신) - CentOS 6버전 까지는 별도의 service로 동작했지만 7버전부터 단순 통신 socket으로 취급 - 정.. 2022. 6. 21.
11. 데몬 프로세스 제어 중요하니까 따로 한 꼭지 빼야겠다. - 데몬 프로세서 :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스 - 운영 체제가 동작하면서 많은 서비스들을 필요로 하고, 필수 서비스들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되어있다 > 그 외의 서비스들은 데몬 프로세스를 제어하여 동작/정지가 가능하다 - 형식 systemctl {start | stop | restart | status | enable | disable} start : 실행 stop : 정지 restart : 재실행 (정지 -> 실행 순서로 동작, 정지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 status : 상태 확인 enable : 부팅 시 데몬 프로세스 자동 실행 disable : enable 해제 2022. 6. 21.
10. 리눅스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0. ifconfig - Interface configurartion; 인터페이스의 정보 확인 및 제어 - CentOS 6 버전까지는 시스템 설치 시 기본 설치되는 명령어였으나 CentOS 7 버전부터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CentOS 7 버전부터 ip addr 명령어가 기본 설치, net-tools 패키지 설치 후 ifconfig 사용 가능) - 형식 ifconfig : 모든 interface의 정보 출력 ifconfig : 해당 interface에 대한 정보만 출력 ifconfig {up | down} : 해당 interface의 상태 제어 UP 유선케이블 연결 down 유선케이블 분리 ifconfig netmask : 해당 interface의 IP 주소 변경(일시적 변경) 네트워크 재부팅하면 기존.. 2022. 6. 21.
9. 프로세스 / boot loader / run-level (리눅스 root 암호 없이 root 접근) 0. 프로세스 - CPU 리소스(연산 능력)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 분류 1) 종류 대화형 프로세스 :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하여 전달한 명령의 결과를 출력 장치를 통해 돌려주는 프로세스 배치 프로세스 : 정해진 시간에 약속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데몬 프로세스 : 서비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스 2) 동작 위치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 내가 현재 사용중인 프로세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 그 외 모든 동작 중인 프로세스 - 프로세스 확인 ps [옵션] | grep * 옵션 -e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까지 확인 -f : PPID까지 확인 # 출력 내용 보는 방법 UID : User ID,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한 사용자를 표시 PID : Process ID,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관리(식별) 번호, 한 .. 2022. 6. 21.
8. 파티션과 마운트 (Partition / mount) 0. 하드디스크의 물리적 구조 - 플레터와 헤드로 구성되어 있다 - 플래터(Platter) 실제 자료가 저장되는 매체 하나의 디스크에는 여러장의 플래터가 들어있고, 하나로 묶여서 한 방향으로 회전 플래터가 손상되면 배드 섹터(bad Sector)가 발생하거나 플래터 전체를 사용할 수 없음 - 헤드(head) 플래터에 자료를 기록하는 펜 플래터레 데이터를 입력/수정/삭제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도구 1. 하드디스크의 논리적 구조 - 플래터는 트랙과 실린더라는 개념으로 나누고 트렉과 실린더가 교차되는 영역을 섹터라고 부른다. -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여러개의 논리적인 영역으로 분할한 파티션이라는 단위로 장치를 사용 > 경우에 따라 디스크 하나의 전체 용량을 하나의 파티션으로 생성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 트.. 2022.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