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se89

7. 응용프로그램 설치 tar/ rpm/ yum 0. 프로그램 설치 과정 소스파일 다운로드 → compile → 설정 및 파일 배치 → 프로그램 실행 : tar + 압축 패키지 파일 준비 → 명령어를 이용한 설치 → 프로그램 실행 : rpm (internet 연결) 명령어를 이용한 설치 → 프로그램 실행 : yum # 리눅스에서 압축 - 파일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사용 - 원본 파일 자체가 압축 된다(복사본 생성 후 압축 x) - 여러 파일을 동시에 압축하면 각각의 파일 개별 압축 - 디렉토리 압축 X - 형식 압축 형식 압축 압축해제 .zip zip unzip .gz gzip gunzip (gzip -d) .bz2 bzip2 bunzip2 (bzip2 -d) - 압축효율은 원본 파일 사이즈마다 다르다 1. tar - Tape Archive; 초창기에.. 2022. 6. 20.
6. 권한 (허가권, 소유권, 특수권한) 0. 권한 - 파일/디렉토리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정하는 개념 - 허가권과 소유권으로 구분 > 허가권 + 소유권 = 권한 1. 허가권 - ls -l 명령을 입력했을 때 나오는 출력 내용 중 개체 형식을 나타내는 첫글자 뒤에 오는 9개 글자가 허가권 - 8가지 문자로 권한을 표현 : r, w, x, -, s, S, t, T r, w, x, - : 일반 권한 표현 문자 s, S, t, T : 특수 권한 표현 문자 - r : 읽기, w : 쓰기, x : 실행/접근, - : 권한없음 r : 파일 → 파일 내용읽기 ; cat, head, tail, more, less, vi로 열었을 때 등 디렉토리 → 디렉토리 내부 목록 확인 ; ls, GUI 환경에서 폴더에 들어갔을 때 등 w : 파일 → 파일 내용 수정.. 2022. 6. 20.
5. 사용자계정과 그룹 0. 사용자 계정 # 사용자 계정에 관련된 파일 1) /etc/passwd : 사용자의 일반적인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 * 파일 내용 보는 방법 itbank:x:1000:1000:itbank:/home/itbank:/bin/bash itbank : 사용자명, 뒤의 정보들이 어느 사용자의 정보인지 표시 x : 암호, 보안상의 이유로 passwd 파일에는 암호를 표시하지 않는다 1000(왼쪽) : UID, 이 사용자의 고유 번호 1000(오른쪽) : GID, 이 사용자가 소속된 주요 그룹의 고유 번호 itbank : 사용자 별칭(계정명 혹은 ID로 사용 X, 화면에 표시되는 이름) /home/itbank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절대경로로 저장 로그인 할 때나 ~ 기호를 사용할 때 이 정보를 보고 사용자의 .. 2022. 6. 19.
4. VI(M) 에디터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문서 편집기로 기본 명령어 만큼이나 기초로서 중요한 주제이다. 리눅스에 많은 프로그램에 대한 설정값 조작이 문서로 된 설정 파일을 직접 문서 편집기로 조작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은 아주 능숙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 VI(M) 에디터 - Linux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문서 편집기(CLI 환경에서 사용) 0. 사용 환경 ** 숫자 오른쪽 num-pad 사용 안됨 명령 모드 : 기본 사용 환경, 커서 이동, 복사/잘라내기/붙여넣기, 삭제, 입력/실행 모드 전환 입력 모드 : 문서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환경, 내용 추가/수정/삭제, 명령모드 전환 실행 모드 : 그 외 대부분의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 명령 모드 전환 (ex 모드) * 입력 모드와 실행 모드 .. 2022. 6. 18.
3. 기본 명령어 모음 여기에 나와 있는 리눅스 기본 명령어 및 옵션은 자유자재로 쓸 수 있어야 한다. 하나하나 실제로 써보면서 맛을 음미해보자. 정말 중요한 명령어는 볼드 처리!! # ls - 목록을 출력해주는 명령어 > 대상에 따라 출력하는 내용이 변경 - 대상의 종류 파일 : 파일 자체의 정보 디렉터리 : 디렉토리 내부 목록 생략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내부 목록 복수의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한꺼번에 볼 수도 있음 ex) ls /tmp /test /user - 옵션 -l : 자세한 정보 출력 -rw-r--r-- 1 root root 511 10월 14 2020 /etc/inittab - : 대상 개체의 형식 (- : 일반 file, d : directory 등) rw-r--r-- : 허가권 1 : link 개수 root .. 2022. 6. 18.
16. Switch / VLAN 0. Switch - 개요 : Frame(데이터)을 전달하는 장비를 말한다. : 'Destination 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지정된 포트로 전송하는 장비이다. : 역할에 따라 L2 Switch, L3-L4 Switch(Multi-Layer Switch)등이 있다. : MAC Address Table을 기반으로 프레임을 '필터링'하고 '전달'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 'MAC Address 학습'을 통해 프레임을 전달한다. 즉, 학습된 내용은 MAC Address Table에 기록된다. - Transparent Bridging : 개요 ; Ethernet 관련 표준 기술 중의 하나이다. ; 프레임을 수신하여 목적지로 전송하는 방식과 절차를 정의해 놓은 표준 ; 'Module 03 p5 ~ p1.. 2022. 6. 11.